목록Computer Science/Computer Network (7)
공부함

1. TCP_Server.c #define _WINSOCK_DEPRECATED_NO_WARNINGS #define _CRT_SECURE_NO_WARNINGS #include #include #pragma comment(lib, "ws2_32.lib") #define MAX 512 void ErrorHandling(char* message) { fputs(message, stderr); fputc('\n', stderr); exit(1); } void tcpServer(char* portNumber) { WSADATA wsaData; SOCKET s1, s1_clnt; struct sockaddr_in s1ServAddr, s1ClntAddr; char buf[MAX] = "\0"; //메세지를 받을 공간..

말이 클라이언트, 서버지 둘다 포트 소켓을 만드는 것은 같음. 딱히 클라이언트, 서버로 나누는 개념이 없어도 됨.(UDP니까..) 1. UDP_Server.c #define _WINSOCK_DEPRECATED_NO_WARNINGS #define _CRT_SECURE_NO_WARNINGS #include #include #pragma comment(lib, "ws2_32.lib") #define MAX 512 void udpServer(char* portNumber) { WSADATA wsaData; SOCKET s1; struct sockaddr_in s1ServAddr, s1ClntAddr; char buf[MAX] = "\0"; //메세지를 받을 공간 int s1len = sizeof(s1ClntAd..

목표 - 다중화, 역다중호 - 신뢰적인 전달 - 흐름제어 - 혼잡제어 - UDP, TCP, TCP 혼잡제어 3.1 트랜스포트 계층 서비스 및 개요 - 종단간 전송만 지원 - 종단간 외에는 TCP나 UDP를 쓰긴 하지만 서비스 하진 않음. (과자를 먹는다고 과자를 팔진 않죠?) - 데이터를 보내는 단위: segment (다른 책에서는 message)(1계층: bit,2: frame, 3: packet) 신뢰성 있는 전달, 순서가 있는 전달, 혼잡제어(TCP) => 그러기 위해선 연결을 해야한다. 순서가 뒤집히기도 하고 최선을 다해 전달하기만 하면 되는 것=> UDP * 트랜스포트 계층에서 지원하지 않는 것: - 지연의 대한 보장 - 대역폭(bandwidth)의 대한 보장 # 트랜스포트와 네트워크 계층 간의..

교재 스크린샷: 5.1 개요 네트워크 3계층의 핵심 역할: 패킷 전송 목적지로 가기위해선 포워딩과 라우팅이 필요 fowarding은 data plane에서, routing은 control plane 에서 control plane에서 라우팅 테이블 생성 후 data plane에서 fowarding 라우팅 성능을 높이기 위해 라우팅 테이블 생성과 포워딩을 따로 하는 것 5.2 라우팅 알고리즘 라우팅 알고리즘의 목표: 가장 좋은 경로를 결정하는 것( 일반 적으로 "좋은" 경로란 최소 비용 경로) #GRAPH 그래프 G = (Node와 Edge로 구분) N= 라우터들(u,v,x,w,y,z) E= 링크들(선) c(x,x') : x에서 x'로 가는 비용(cost) p(v): v의 앞전 노드(previous node..

교재 스크린샷: 4.3 인터넷 프로토콜(IP): IPv4, 주소지정, IPv6 등 flag(플래그)[3bit], fragment offset(프래그먼트 오프셋)[13bit]: IP 단편화와 관련 있다. TTL[8bit[: 네트워크에서 데이터그램이 무한히 순환하지 않도록 한다.(라우팅 루프) 데이터 그램을 처리할 때 마다 감소하도록 한다. Upper layer(상위 계층 프로토콜)[8bit]: 목적지의 전송 계층 프로토콜을 명시 header checksum(헤더 체크섬)[16bit]: 헤더만 체크섬을 한번 더 한다. 32비트 출발지 IP주소[32bit], 32비트 도착지 IP주소[32bit] 옵션: IP필드를 확장한다. 1BYTE만 옵션이더라도 그 뒤에 PAD라고 하는 비트로 3BYTE를 채운다. (옵션 ..

개인적으로 중간고사 대비용으로 적는 요약본. 내가 보고 정리하고 이해하기 위함이라 문장이 매끄럽지 못하고 설명 수준이 낮습니다. 스크린샷 ppt 링크: https://www.sfu.ca/~ljilja/ENSC427/Spring18/News/Kurose_Ross/Chapter_6_V7.01.pdf 6. 링크 계층: 링크, 접속망, 랜 6.1 링크 계층 소개 노드: 링크 계층 프로토콜을 실행하는 장치를 노드라고 한다. 호스트, 라우터, 스위치 , Wifi AP(access point)등이 노드가 될 수 있다. 링크: 통신 경로상의 인접한 노드들을 연결하는 통신 채널을 링크라 한다. 한 링크에서 전송 노드는 데이터 그램을 링크 계층 프레임으로 캡슐화 해서 링크로 전송한다. data link layer는 데이터..

개인적으로 중간고사 대비용으로 적는 요약본. 내가 보고 정리하기 위함이라 문장이 매끄럽지 못합니다. 스크린샷 ppt 링크: https://slideplayer.com/slide/12280269/ Chapter 1 Introduction Computer Networking: A Top Down Approach - ppt download Introduction Prof. Sungwook Kim (김승욱) AS building 903 Tel : 02) TA : Joonsu Ryu (류준수) AS building slideplayer.com 교재 ppt(영문): CHAPTER 1. 컴퓨터 네트워크와 인터넷 1.1 인터넷이란 무엇인가? 인터넷을 두가지로 나누어 설명한다. ① 인터넷의 구성요소(너트와 볼트)를 기술..